"둘이 벌어도 늘 빠듯한데..." 맞벌이 부부라면 공감할 이야기입니다. 열심히 일해 소득은 늘었지만, 그만큼 세금과 지출도 많아 팍팍한 현실. 이럴 때 정부 지원금 소식은 가뭄의 단비 같지만, '소득 기준'이라는 문턱 앞에서 번번이 좌절했던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2025년 7월, 드디어 시작된 '민생회복지원금(소비쿠폰)'. "혹시 이번에도 우리 집은 대상이 아니지 않을까?" 걱정하는 맞벌이 부부를 위해, 2025년 최신 소득 기준이 어떻게 산정되는지, 숨겨진 예외는 없는지 속 시원하게 파헤쳐 드립니다.
희소식! 1차 지원금은 소득과 무관하게 '전 국민' 지급
가장 먼저 좋은 소식부터 알려드릴게요.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은 두 번에 걸쳐 지급되는데, 7월 21일부터 신청하는 1차 지원금은 소득, 재산과 전혀 상관없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습니다.
1인당 15만 원 기본 지급
부부라면? 남편 15만 원 + 아내 15만 원 = 총 30만 원!
따라서 맞벌이 여부나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부부 합산 최소 30만 원은 우선 확보하시는 셈입니다.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으니 잊지 말고 꼭 챙기세요!
진짜 관문은 2차 지원금: '소득 하위 90%'의 기준
진짜 궁금한 부분은 바로 9월에 지급될 2차 지원금입니다. 소득 하위 90%에 해당하는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하는데요, 여기서 '소득'을 어떻게 보느냐가 관건입니다.
정부의 판단 기준은 바로 '가구 단위 월 건강보험료 납부액'입니다. 여러분의 급여명세서에 찍히는 바로 그 건강보험료가 기준이 되는 것이죠.
맞벌이 부부 소득 기준, 이렇게 계산됩니다 (가장 중요!)
그렇다면 맞벌이 부부의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둘 중 한 사람 기준으로만 보면 안 되나?" 아쉽게도 그럴 수는 없습니다.
✅ 원칙: 부부의 건강보험료를 '합산'하여 가구의 소득으로 본다.
만약 부부 모두 직장가입자라면, 남편의 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과 아내의 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더한 금액이 우리 집의 소득 기준이 됩니다.
⚠️ 맞벌이 부부를 위한 특별 공제나 예외 기준이 있나요? 안타깝게도 2025년 7월 현재까지,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에 맞벌이 가구만을 위한 별도의 특례나 공제 기준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두 사람의 보험료를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 집은 대상이 될까? (2025년 예상 기준표)
정확한 기준선은 2025년 9월에 공식 발표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과거 사례와 최근 통계를 바탕으로 한 예상 기준을 통해 우리 집이 2차 지원금 대상이 될지 미리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Tip: 본인의 정확한 건강보험료는 매월 받는 급여명세서나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The건강보험(앱)에서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차 지원금은 걱정 없이 받으시고, 2차 지원금은 부부의 건강보험료를 합산해 위의 예상 기준과 비교해 보신 후 9월의 정부 공식 발표를 기다리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맞벌이 부부 민생회복지원금 관련 가장 자주 묻는 질문 TOP 5
Q1: 저희는 맞벌이 부부입니다. 2차 지원금 10만원도 각자 받을 수 있나요? A1: 네, 지급 대상이 되면 10만원씩 각각 지급됩니다. 즉, 부부가 모두 대상이 되면 총 20만원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다만, 지급 대상 여부를 판단할 때 소득 기준은 부부의 건강보험료를 '합산'하여 판정합니다.
Q2: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어떻게 합산하나요? A2: 부부 모두 직장가입자이면 각자의 본인부담금을 합산합니다. 한 명은 직장가입자, 다른 한 명이 사업 등으로 지역가입자라면 직장가입자의 보험료와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를 모두 합산하여 가구의 총보험료를 산정합니다.
Q3: 작년 소득은 높았는데, 올해 아내가 출산으로 퇴사했습니다. 기준이 뭔가요? A3: 건강보험료는 보통 최근 소득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만약 퇴사 후 남편의 직장 건강보험에 '피부양자'로 등록하셨다면, 남편 한 사람의 건강보험료(외벌이 기준)로만 판정하게 되므로 2차 지원금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Q4: 소득은 기준 이하인데, 고가의 자동차나 집이 있으면 제외될 수 있나요? A4: 이번 민생회복지원금의 2차 지급 기준은 기본적으로 '건강보험료'를 바탕으로 한 소득 하위 90%입니다. 다만, 정부 발표에 따라 과도한 자산가(예: 고액의 금융소득 발생자 등)를 제외하는 별도 기준이 추가될 가능성도 있으니 9월 발표를 지켜봐야 합니다.
Q5: 정확한 소득 기준(건강보험료 커트라인)은 언제,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5: 2차 지원금 지급을 위한 정확한 소득 기준선은 2025년 9월 중 정부(기획재정부 등)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정됩니다. 발표 즉시 뉴스나 정부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 등을 통해 널리 공지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